산업/IT

현대차그룹, FISITA 월드 모빌리티 컨퍼런스서 미래 기술 청사진 제시

  • 김창환 부사장, 한국인 최초 FISITA 회장 취임…글로벌 기술 리더십 부각
  • 자율주행·수소차 등 미래 기술 현황 공유…넥쏘 전시로 수소 모빌리티 비전 강조
  • 유럽 협력 사례·우수 논문 발표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과 기술 저변 확대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 최대 자동차 공학 학술행사인 ‘FISITA 월드 모빌리티 컨퍼런스 2025’에서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비전을 공개하며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6월 3일부터 5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카탈루냐 콩그레스 센터에서 개최되며, 현대차그룹은 유일한 프라임 파트너 자격으로 참여했다. 36개국 21만여 명의 자동차공학회 회원이 소속된 세계자동차공학회연합(FISITA)이 주최하는 이 행사는 전 세계 모빌리티 전문가 2천여 명이 참석하는 글로벌 기술 교류의 장이다.

올해는 특히 현대자동차·기아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김창환 부사장이 FISITA 역사상 최초의 한국인 회장으로 임기를 시작한 첫 해이기도 하다. 김 부사장은 향후 2년간 전 세계 자동차공학회의 이사회 및 위원회를 주재하며, 한국 자동차 기술의 위상을 더욱 끌어올릴 예정이다.

행사 첫날, 현대차 대표이사 호세 무뇨스 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그룹의 미래 기술 로드맵을 소개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은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인류의 더 나은 이동 경험을 만들기 위해 기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HMGMA 제조 자동화, 자율주행, 연료전지 시스템, 미국 내 HTWO 수소 충전소 등 핵심 기술 개발 현황을 공유했다.

이어 진행된 ‘현대차그룹과의 대화’ 세션에서는 글로벌 모빌리티 업계 리더들과 함께 산업의 미래 방향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컨퍼런스 둘째 날부터는 현대차·기아 소속 연구원들이 유럽 기술 파트너십 사례를 발표하는 특별 세션을 통해 ▲버추얼 성능 검증 기술 ▲PHM 기반 SDV 섀시 기술 ▲EV 부싱 신기술 등 최신 협력 성과를 소개했다.

또한 배터리, 자율주행, 열관리, 전동화 설계 등 다양한 주제로 현대차·기아 소속 연구원 17명이 발표한 우수 논문은 세계 연구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현대차그룹은 전시 공간을 통해 수소사회 구현에 대한 의지를 전하며, 신형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와 연료전지 시스템을 함께 공개해 친환경 모빌리티 기술력을 강조했다.

김창환 FISITA 회장은 “기술의 진보가 인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해야 한다”며, “글로벌 협력과 포용적 리더십을 통해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