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LG엔솔 美 합작 배터리 공장 급습… 한국인 직원 30여명 포함 450명 체포
- ICE·HSI 등 연방 기관, 비자 규정 위반 및 불법 고용 단속
- 한국인 출장자 다수 포함… 현지 공사 중단·근로자 불안 확산
- 트럼프 행정부 2기 최대 규모 단속, 한미 경제 협력에도 파장 예상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이 조지아주 서배너 인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급습해 불법 체류 및 비자 규정 위반 혐의로 약 450명을 체포했다. 체포된 인원 중에는 한국 본사에서 파견된 출장자 30여 명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단속은 연방수사국(FBI), 주류·담배·총기·폭발물단속국(ATF), 마약단속국(DEA) 등 다수 기관이 참여한 대규모 작전으로, 헬리콥터까지 동원되며 긴박하게 진행됐다. 현장에서는 한국인 근로자와 현지 노동자들이 함께 신분 검사를 받았고, 공장은 전면 공사 중단에 들어갔다.
체포된 한국인들은 주로 회의와 계약 등 비즈니스 목적으로 발급되는 B1 비자, 혹은 ESTA(전자여행허가제)를 통해 입국했으나 실제로는 현장에서 기술 지원 등 업무에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원칙적으로 취업 비자가 필요한 활동이어서 ‘체류 목적 위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번 공장은 현대차그룹이 76억 달러(약 10조원)를 투자해 조지아주 최대 규모 전기차 복합단지로 조성 중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핵심 프로젝트다.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 완공과 양산을 목표로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이었으나, 이번 단속으로 일정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트럼프 행정부 2기 들어 강화된 불법 이민 단속의 일환으로 해석한다. 실제로 재출범 이후 200일간 불법 이민자 35만9000명을 체포하고 33만2000명을 추방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단속이 미국 내 최대 규모 경제개발 프로젝트이자 ‘K-배터리 동맹’의 상징적 현장에서 벌어졌다는 점에서 한미 경제 협력에도 파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조지아주 노동단체 AFL-CIO는 성명을 내고 “이번 급습은 정치적 동기에 따른 이민자 노동자 괴롭힘”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반면 ICE 측은 “불법 고용 관행과 중대한 연방 범죄에 대응한 것”이라며 정당성을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글로벌 공급망 안정과 전기차 산업 육성을 강조해온 한미 양국의 정책 기조와도 충돌할 수 있어, 향후 외교적 대응 및 기업 차원의 법적 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