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엔터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330년 역사와 독립운동 정신 품다

  • 17세기 말 건립, 사도세자 스승 류정원 향불천위 모신 고택
  • 조선 후기 반가 건축의 전형…독립운동가 10여 명 배출한 집안
  • 역사·건축·정신문화 아우르는 자산, 지역 관광·교육 자원으로 주목

경북 안동시 예안면에 위치한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이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삼산 류정원(1702~1761)의 향불천위를 모시는 이 고택은 류정원의 부친 참판공 류석구가 1693년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330여 년간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삼산이라는 이름은 류정원이 고택의 안마루에서 바라본 세 개의 산봉우리에서 따온 것으로, 이후 마을 명칭으로도 이어졌다. 고택은 안채, 사랑채, 사당, 외양간채, 대문채 등 다섯 동으로 구성됐으며, 경북 북부 지방의 전형적인 ㅁ자형 뜰집 구조를 보이면서도 내·외 공간 구분이 뚜렷하다. 안채와 사랑채의 별동 배치, 一자형 팔작지붕과 ㄷ자형 중문채 등 다양한 건축적 특성이 조선 후기 반가 건축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전경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사랑채 전경

류정원은 일생 동안 『주역』을 깊이 연구해 『역해참고』, 『하락지요』 등을 저술했으며, 현감과 대사간, 호조참의 등을 역임했다. 특히 사도세자의 스승으로 활동했고,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11회나 모범사례로 소개될 만큼 선정을 베풀어 당대 명망 높은 관료로 평가받았다.

이 집안은 개항기와 일제강점기에도 10여 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민족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역사성과 정신적 유산은 단순한 건축적 가치에 머물지 않고,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맥락을 담아내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삼산고택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지역 사회의 역사·문화관광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전통 건축 유산이 단순 보존에서 나아가 교육·체험형 콘텐츠로 확장되는 만큼, 삼산고택 역시 지역 학생들의 역사 교육 현장,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공간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