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LG에너지솔루션, 6조원 LFP 배터리 수주…북미 ESS 공략 본격화

  • 단일 계약 기준 역대 최대 규모…향후 7년까지 연장 가능성
  • 미시간 현지 생산 체제 전환, 수주량 50GWh 돌파
  • 보급형 EV·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전략적 선제 대응

LG에너지솔루션이 약 6조 원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단일 계약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글로벌 LFP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7월 30일 금융감독원 공시를 통해 해외 고객사와 총 43억900만 달러(한화 약 5조9442억 원)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매출의 23.2%에 해당하는 규모다. 계약 기간은 2027년 8월 1일부터 2030년 7월 31일까지 총 3년이며, 고객과의 협의에 따라 최대 7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계약 상대방은 경영상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미국 기반의 대형 ESS 기업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테슬라를 포함한 주요 에너지 기업들이 LFP 기반 ESS 시장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점, LG에너지솔루션이 현재 북미에서 LFP 배터리를 현지 생산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업체라는 점이 근거로 거론된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북미 내 생산체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당초 2026년 가동 예정이던 애리조나 신규 공장 계획을 앞당겨, 기존 미시간주 홀랜드2 공장의 일부 라인을 전환해 올해 2분기부터 LFP 배터리 양산을 시작했다. 이로써 현지 시장의 급증하는 수요에 한발 앞서 대응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미국의 ESS 누적 설치용량은 2023년 기준 19GW에서 2035년 250GW로 13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대부분이 열적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LFP 배터리로 채워질 것으로 예상되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3년 기준 글로벌 ESS 시장에서 LFP의 점유율이 80%에 달했다고 분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대규모 수주를 계기로, 현재 50GWh 이상 규모로 추정되는 수주 잔고를 더 확대하고, 북미 외에도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한 ESS 및 전기차 배터리 수주 경쟁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LFP 배터리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전략 포트폴리오의 핵심 축이 본격적인 가동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