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AI로 화장품 효능 성분 개발 성공
- 엑사원 디스커버리 활용으로 연구 기간 1년 10개월 → 1일로 단축
- 물질 용해도 개선 및 안전성 확보로 고효능 성분 개발
- 내년부터 프리미엄 브랜드 ‘더후’에 첫 적용 예정
LG생활건강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화장품 효능 성분 개발에 성공하며 연구 혁신을 이뤘다. LG생활건강은 LG AI연구원과 협력해 신물질 발굴 특화 AI 모델인 ‘엑사원 디스커버리(EXAONE Discovery)’를 활용하여 물질의 용해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효능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연구 방식에서는 후보 물질 선정에 평균 1년 10개월이 소요됐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엑사원 디스커버리를 통해 하루(1일) 만에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AI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유해 성분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한 고효능 물질만을 선별할 수 있었다.
LG생활건강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피부 항노화 트렌드인 ‘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 관점에서 다양한 화장품 원료를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부터 궁중 피부과학 럭셔리 브랜드 ‘더후(The Whoo)’ 제품에 첫 적용할 예정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AI 기술과의 협업으로 피부 개선 효과가 뛰어난 혁신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컨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