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GM, 美 합작공장서 LFP 배터리 양산 착수…中 저가 공세에 대응
- 테네시주 얼티엄셀즈 공장에 생산라인 전환…2027년 본격 가동
- ESS 이어 EV까지 LFP 확대…美·유럽 시장 공급망 주도
- 기술 신뢰 바탕 GM 선택 받아…국내 배터리 업계 생존 전략 가속
LG에너지솔루션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가 미국 테네시주 스프링힐 제2공장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산을 공식화하며 북미 시장 내 저가형 전기차 배터리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올해 말부터 생산 라인 전환 작업을 시작해 2027년 말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양사는 기존 니켈·코발트·망간(NCM) 기반 하이엔드 배터리에서 LFP 라인업까지 확대하며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한다. 가격 경쟁력과 안전성이 높은 LFP 배터리는 특히 보급형 전기차에 적합해 GM은 이를 픽업트럭 등 신규 모델에 탑재할 예정이다. GM은 이번 결정이 자사 전기차 포트폴리오의 확장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LFP 생산 전환은 전기차 시장의 ‘캐즘’ 국면, 즉 일시적인 수요 둔화와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미국 내 세액공제 혜택 축소와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도 GM은 전기차 투자를 지속하며 LG에너지솔루션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포드는 전기 SUV 계획을 철회하고 하이브리드 중심으로 선회한 상황이다.
LFP 기술력에 대한 GM의 신뢰도 주목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미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를 양산 중이며,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과 향후 유럽 르노 협업까지 예정돼 있는 등 글로벌 생산 역량을 입증하고 있다. 미국 내 LFP 배터리 생산을 공식화한 국내 업체는 LG에너지솔루션이 최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LFP 전환 전략에 속속 동참하는 분위기다. SK온은 LFP용 양극재 공급을 위한 북미 협약을 체결했고, 삼성SDI도 GM과의 인디애나 합작공장에서 LFP 생산 가능성을 논의 중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보호무역 강화 속에서 현지화된 LFP 공급망 구축이 국내 배터리 업계에 새로운 생존 돌파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