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LG에너지솔루션, 벤츠와 15조 원대 배터리 계약…차세대 46시리즈 ‘최대 규모’ 수주

  • 총 107GWh 공급 계약, 150만대 전기차 생산 가능 물량
  • 美·유럽 동시 공급…K-배터리, 中 업체 제치고 글로벌 입지 강화
  • 46시리즈 앞세워 전략적 파트너십 및 프리미엄 시장 공략 가속화

LG에너지솔루션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와 손잡고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판도에 또 한 번 변화를 예고했다. 회사는 3일 총 107GWh 규모에 달하는 전기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금액은 약 15조 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단일 계약 규모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2029년 7월부터 2037년 말까지 미국에서 75GWh, 2028년 8월부터 2035년 말까지 유럽에서 32GWh를 공급한다. 업계에서는 공급 제품이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인 46시리즈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물량은 전기차 약 15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46시리즈 배터리는 직경 46mm, 높이 80~120mm 크기로 기존 2170 원통형 대비 에너지 용량과 출력이 최소 5배 이상 높아 ‘게임체인저’로 불린다. 단위 에너지당 공정 횟수와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성능뿐 아니라 가격 경쟁력도 확보한 것이 강점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특히 자체 개발한 냉각·안전 강화 솔루션(CAS)을 적용해 안정성과 구조 강성을 끌어올렸다.

LG에너지솔루션 46시리즈 배터리

이번 수주는 지난해 벤츠와 체결한 50.5GWh 규모 계약에 이어진 것으로, 사실상 2년 연속 대규모 장기 계약이다. 벤츠가 CATL, 파라시스 등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한 중국 업체 대신 LG에너지솔루션을 선택한 것은 고성능 원통형 배터리 기술력과 미국 내 현지 생산능력을 높이 평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애리조나에 36GWh 규모의 원통형 배터리 전용 공장을 짓고 있으며, 내년부터 46시리즈 양산에 돌입한다. 이번 계약에서 미국 공급 물량 대부분이 해당 공장을 기반으로 소화될 전망이다. 미국·유럽 내 ‘현지 생산·현지 공급’ 체제가 강화되면서 최근 강화된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와 유럽 CRMA(핵심원자재법)의 규제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업계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LG에너지솔루션의 유럽 시장 추가 수주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다. 이미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은 46시리즈 양산 전환 잠재력이 있어, 향후 추가 발주 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리비안(67GWh), 체리자동차(8GWh) 등 글로벌 고객사와의 계약이 이어지고 있어, LG에너지솔루션의 46시리즈는 글로벌 차세대 배터리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현재 LFP(리튬인산철) 기반 저가형 vs. 고성능 원통형 배터리 양극 구도로 재편되는 추세다. 중국 기업들이 주도하는 저가 제품에 맞서 LG에너지솔루션은 46시리즈를 앞세워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벤츠와의 초대형 계약은 LG에너지솔루션이 단순 납품업체를 넘어 전략적 파트너로 격상된 신호”라며 “향후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 K-배터리의 입지를 확대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