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6G 저궤도 통신위성 개발 본격 착수
- 2030년까지 위성 2기 개발…1840억 원 규모 대형 프로젝트
- KT·KTSat과 협력, 세계 최초 6G 상용화 도전
- 안보·상업 수요 모두 겨냥, 차세대 통신 인프라 기반 마련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6G 시대를 겨냥한 저궤도 통신위성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KAI는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항공청,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6G 저궤도 통신위성 기술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는 약 1840억 원 규모로, KAI는 오는 2030년까지 위성 2기의 체계 종합과 본체 개발을 포함해 조립, 시험, 발사 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세계 최초로 3GPP 표준 기반의 6G 저궤도 통신 시스템을 국내 기술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AI는 이를 위해 통신 네트워크 분야의 KT, 위성통신 전문기업 KTSat과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성해 세계 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세 기업은 우주, 통신,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로 6G의 상용화와 글로벌 사업화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KAI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저궤도 통신위성 기반의 통신 인프라 시장에서 안보 수요와 상업적 수요를 동시에 겨냥한다는 전략이다. 저궤도 통신위성은 지구에서 300~1500km의 고도에 위치하며, 정지궤도 위성 대비 낮은 전파 손실과 지연을 통해 초고속, 초저지연 통신 환경을 구현할 수 있어 6G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KAI는 이 기술을 자사의 미래사업인 차세대공중전투체계(NACS), 미래비행체(AAV), AI 파일럿 기반의 다목적 무인기(AAP) 등과 연계해 신산업 창출에 활용할 계획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이 6G 통신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항공·방산 중심으로 축적한 기술력과 우주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유무인 복합체계를 구축하고, 위성 수출 시장에도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