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수출 교두보 ‘서울푸드 2025’ 개막…전 세계 식품 트렌드 집결
- 45개국 1600여 기업 참가, 역대 최대 규모로 킨텍스서 열려
- 디지털 푸드테크·글로벌 트렌드 공유…AI·로봇 기술도 조명
- K-푸드 수출시장 확대 위한 1:1 수출상담·인플루언서 연계 지원
아시아 4대 식품전시회 중 하나로 성장한 ‘서울푸드 2025’가 6월 10일부터 13일까지 경기도 고양 킨텍스 제1~2전시장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주관한다.
올해 서울푸드는 역대 최대 규모로, 45개국 1639개 식품기업이 참가했다. 이들과 함께 300개 해외 바이어가 참여해 K-푸드의 수출 가능성을 타진한다. 서울푸드는 매년 규모를 확장하며 중국, 일본, 태국과 함께 아시아 대표 식품 박람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시 기간 중 열리는 ‘글로벌 푸드 트렌드&테크 컨퍼런스’에서는 대체육, 저당식품 등 차세대 식품 트렌드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로봇 등을 활용한 디지털 푸드테크 기술이 조명된다. 각국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이 이어지며 식품산업의 미래를 전망한다.
또한 먹방 유튜버 상해기, 쿠팡라이브 크리에이터 정윤희를 포함해 중국 왕홍, 베트남·일본 인플루언서들도 참여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K-푸드 홍보와 판매에 힘을 보탠다.
정부는 국내 우수 식품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서울푸드 어워즈 수상기업을 위한 홍보관 설치는 물론, 칠레·라오스·과테말라 등 신흥시장 바이어 초청 1:1 수주상담회도 진행한다.
산업부 박정성 무역투자실장은 “K-푸드는 한국의 대표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며 “정부는 한류와 연계한 소프트파워 산업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 주원철 식품산업정책관도 “연 100억달러 수출을 앞둔 농식품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되도록 신시장 개척과 현지 맞춤형 전략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