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한국, SMR 강자 될 수 있다”…빌 게이츠와 미래 에너지·보건 협력 논의
- 차세대 원전 해법으로 SMR 강조…AI·반도체 전력 수요 대응 전망
- 게이츠 “한국 바이오 제품 경이로운 수준…글로벌 보건 기여 확대 기대”
- 한미정상회담 앞두고 에너지·보건 협력 논의, 국제적 위상 강화 포석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방한한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을 만나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비롯한 차세대 에너지와 글로벌 보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 SMR을 개발하는 기업들이 많고 해외 시장에서도 강점을 지니고 있다”며 “한국이야말로 SMR의 강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취임 이후 이 대통령이 SMR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첫 사례다.
게이츠 이사장은 “AI와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전력 수요를 늘린다”며 “SMR은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인 해법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소형모듈원자로는 설치 제약이 적고 경제성·안전성이 높아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꼽히며, 빅테크 기업과 각국 정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의 테라파워, 한국의 두산에너빌리티 등 주요 기업들이 SMR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이날 접견에서는 글로벌 보건 협력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의 바이오사이언스 제품은 경이로운 수준”이라며 SK바이오사이언스, LG, 유바이오로직스 등 한국 기업들의 성과를 높게 평가했다. 그는 “국제백신연구소와 협력해 저소득 국가 아동 사망률을 낮추는 데 한국이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게이츠 이사장이 윈도우 개발로 세상의 창을 열고, 이제는 백신과 친환경 발전으로 인류를 위한 공공재 개발에 나서는 점을 존경한다”며 “대한민국 정부도 함께할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겠다”고 화답했다.
이번 만남은 오는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진행된 만큼 전략적 의미도 크다. 게이츠 이사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잘 대화하라”고 조언했고, 이 대통령은 “어려운 일이지만 슬기롭게 풀겠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SMR과 바이오 분야에서 세계적 입지를 확대할 경우, 에너지 안보와 글로벌 보건 기여를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고 본다. 기후위기와 전력수요 증가가 맞물린 현재 상황에서, 한국이 ‘에너지-보건 복합 리더십’을 구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