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피해 중소기업, 4조6000억 원 추가 지원…정부, 긴급자금 공급
- 관세 피해기업 전담관제 도입 및 AI 상담 시스템 신설
- 4조2000억 원 규모 ‘위기극복 특례보증’ 신설…수출기업 피해 완화
- 물류비 할인, 수출국 다변화 지원 등 신시장 개척 적극 지원
중소벤처기업부는 미국 관세로 인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4조6000억 원의 정책자금을 추가 공급한다고 14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 ‘미국 관세 대응 중소기업 추가지원 방안’에 따른 것이다.
중기부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실적은 270억 달러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으나,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로 인해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실적은 감소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했다.
우선 중기부는 ‘중소기업 수출애로 신고센터’의 관세 상담 기능을 강화하고, 관세 피해기업에 1대1 전담관제를 도입해 밀착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수출규제 전담대응반의 기능을 확대해 ‘수출관세 AI 챗봇 상담’ 서비스를 신설하고, 빠른 대응을 위해 평가 절차를 간소화한 패스트트랙도 도입한다.
경영애로 중소기업을 위한 긴급자금 4000억 원이 추가 공급되며, 4조2000억 원 규모의 ‘위기극복 특례보증’이 신설된다. 중기부는 이번 자금 지원에 대해 정책 우선도 평가를 면제해 신속히 집행할 방침이다.
또한 중기부는 관세 피해 기업의 물류비 경감 대책도 마련했다. 대형 물류사와의 협업을 통해 대미 수출 물류비 할인율을 확대하고, 풀필먼트 서비스를 통해 물류비 지원한도를 상향할 계획이다.
수출 중소기업의 신시장 개척을 위해 신시장진출자금 1000억 원이 추가 공급되며,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을 확대해 미국 관세 조치에 큰 타격을 입은 주요 품목 수출을 돕는다. 또한 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해 해외인증 획득 비용 지원 자금 100억 원이 추가되며, ‘인증 사전심사·진단’ 프로그램도 신설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이번 추가지원 방안은 중소기업의 수출 애로를 해소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뒀다”며 “우리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컨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