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1AI 시대 앞당긴다”…뤼튼·퓨리오사AI, ‘AI 역량 강화’ 맞손
- 고성능 AI 추론 인프라 기반 ‘국민 AI 보급’ 시동
- 퓨리오사AI, 엔비디아 대안으로 입지 확대…뤼튼, 서비스 고도화 속도
- “국가 단위 AI 풀스택 경쟁력 구축”…AI 생태계 확장 시너지 기대
국내 대표 생성형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와 고성능 AI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 국민 AI 역량 강화’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AI 기술의 실용적 보급과 추론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1인 1AI’ 환경을 조성한다는 목표 아래 추진됐다.
뤼튼은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500만 명을 돌파하며 국내 AI 서비스 플랫폼 중 가장 많은 수준의 유저풀을 확보한 기업이다. 올해 3월에는 108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하며 누적 투자액 1300억 원을 달성, AI 생태계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AI 역량 강화 △고성능·고효율 AI 추론 인프라 구축 △AI 서비스의 안정적 보급에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퓨리오사AI는 자체 개발한 2세대 AI 추론 가속기 ‘레니게이드(RNGD)’를 뤼튼의 실제 서비스 환경에 적용해, 엔비디아 GPU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국산 대안 기술의 성능과 효율성을 검증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해당 칩은 LG AI연구원의 LLM 모델 ‘엑사원(EXAONE)’에도 공급되며 엔터프라이즈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뤼튼은 퓨리오사AI의 하드웨어와 결합해 자사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 국민 1인 1AI 보급’이라는 비전을 보다 현실적인 단계로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AI 산업에서 추론 인프라의 효율성과 범용성은 기업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이번 협력은 국가 단위의 AI 풀스택 역량을 구축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세영 뤼튼 대표도 “AI가 누구나 일상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되는 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라며 “다양한 분야의 AI 기업과 협력해 AI 생태계를 넓히고 국가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이 개인화·경량화되는 흐름 속에서, 고성능 추론 인프라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번 협약은 생성형 AI 서비스의 안정성과 접근성을 동시에 높이며, 향후 교육·행정·헬스케어 등 공공서비스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도 시사한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