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UX 스튜디오 서울’ 개관…고객과 함께 미래차 만든다
- 세계 최초 ‘상시 참여형’ 차량 UX 연구 공간
- 고객 목소리, 실제 차량 개발 과정에 반영
- 전시·체험·몰입형 실험공간까지…강남 사옥서 전면 공개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대비해 고객과 함께 사용자 경험(UX)을 설계하는 ‘열린 연구소’를 서울 강남에 열었다.
현대차그룹은 3일 서울 강남대로에 위치한 현대차 사옥 1~2층에 ‘UX 스튜디오 서울’을 공식 개관했다고 밝혔다. 이 공간은 2021년 서초에 문을 연 UX 스튜디오를 완전히 리뉴얼해 이전한 것으로, 단순한 체험관을 넘어 고객이 직접 차량 개발 과정에 참여하는 ‘상시형 연구 플랫폼’이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크게 일반 방문객이 자유롭게 전시를 체험하고 리서치에 참여할 수 있는 1층 ‘오픈 랩(Open Lab)’과, 연구원과 초청 사용자가 함께 몰입형 연구를 수행하는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으로 구성된다.

오픈 랩에서는 차량 내 사용자 경험이 어떻게 기획되고 검증되는지 실제 콘셉트와 시뮬레이터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현대차그룹의 차세대 SDV(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기술을 직접 조작해보는 체험도 제공된다. 시각·감각 등 감성 경험을 주제로 한 ‘UX 아카이브’ 전시도 상설 운영된다.
눈에 띄는 점은 ‘실제 개발 과정에 고객 의견이 실시간 반영되는 체계’다. UX 테스트 존에서는 방문자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해 차량 기능에 대한 피드백으로 활용하고, 시뮬레이터에서는 아이트래커 등으로 사용성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한다.
특히 SDV 존에 전시된 전기·전자 아키텍처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Pleos Connect’는 차량과 모바일의 연결성을 높이는 한편, 음성 기반 AI 어시스턴트 ‘Gleo AI’를 통해 몰입형 인터페이스 경험을 제공한다.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은 현대차·기아 연구원들과 사전 초청된 일반 사용자가 함께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시뮬레이터에서 실제 주행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는 몰입형 공간이다. 실험에는 글로벌 도시 지도를 기반으로 구성된 가상환경이 활용되며, 데이터는 모두 저장·분석돼 차량 UX 개선에 반영된다.

현대자동차·기아 Feature전략실 김효린 상무는 “고객의 목소리가 감동적인 UX의 출발점”이라며 “UX 스튜디오 서울은 단순 체험 공간이 아닌, 고객이 직접 차를 만드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UX 스튜디오 서울을 시작으로 중국 상하이, 독일 프랑크푸르트, 미국 어바인 등 글로벌 연구 거점과 연계해 지역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맞춤형 UX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