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K-배터리 3사와 ‘EV 안전 동맹’…글로벌 표준 선도 나선다
- LG엔솔·삼성SDI·SK온과 5대 협업 과제 성과·MOU 체결
- 특허 공유·디지털 여권·소방 기술까지…산업 생태계 전방위 강화
- “경쟁 넘어 협력”…韓 전기차·배터리, 글로벌 안전 기준 제시
현대자동차·기아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 ‘K-배터리 연합’을 결성하고 전기차 배터리 안전 강화 기술 공동개발에 나섰다. 22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행사에서 이들은 지난 1년간의 협업 성과를 발표하고, 향후 협력을 제도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도 참석해 정부 차원의 지원 의지를 확인했다.
이번 협력은 지난해 8월 현대차·기아가 제안한 ‘배터리 안전확보 TFT’에서 시작됐다. 연구개발·생산·품질·특허 등 전 부문의 인력이 참여한 TFT는 배터리 3사와 함께 5대 핵심 과제를 선정해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과제는 ▲안전 특허 공유 ▲디지털 배터리 여권 구축 ▲설계 품질 고도화 ▲제조 품질 혁신 ▲소방 기술 협력 등으로,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글로벌 안전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성과도 가시화됐다. 안전 특허 과제에서는 단락 방지 기술 등 신규 특허가 도출돼 공유 체계가 마련됐고, 디지털 배터리 여권은 EU 규제에 대응하면서 안전 특화 항목까지 반영한 품질 추적 시스템으로 발전 중이다. 설계·제조 품질 과제는 셀 구조 개선과 AI 기반 지능형 제조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소방 기술 분야에서는 국립소방연구원과 함께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가 개정됐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협력 체계를 상시화하고, 특허 지식재산권 공유와 열전이 방지, 소방 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한국형 전기차 안전 표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경영진 발언에서도 “경쟁을 넘어 협력이 곧 생존 전략”(LG엔솔), “산업 안전 기준을 새롭게 정의한 진보”(삼성SDI), “생태계 전반의 책임 있는 변화”(현대차·기아),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배터리 개발”(SK온) 등 공통된 메시지가 강조됐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경쟁이 국가 단위의 기술 주도권 싸움으로 격화되는 가운데, 이번 협력은 한국 자동차·배터리 산업이 힘을 합쳐 새로운 안전 패러다임을 제시한 사례로 평가된다. 향후 ‘K-배터리 안전 표준’이 국제 규범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