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테크

한-베트남, ‘포괄적 전략 동반자’ 심화…2030년 교역 1500억달러 공동목표

  • 원전·고속철·신도시 등 대규모 인프라 협력 확대
  • AI·재생에너지·핵심광물 공급망 등 미래산업 공동 개발
  • 인적·문화 교류 및 한반도 평화 협력 강화

이재명 대통령과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베트남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를 위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이번 회담은 새 정부 출범 67일 만에 이뤄진 첫 국빈 정상회담이자, 베트남 최고지도자의 방한으로는 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양국 정상은 외교·안보, 경제·인프라, 미래산업, 국민·기업 지원, 교육·문화, 국제공조 등 6대 분야에서 구체적 협력 방안을 도출하고, 2030년까지 교역 규모를 현재 867억달러에서 1500억달러로 확대한다는 공동 목표를 설정했다.

한·베트남 확대정상회담 모습

경제 협력 측면에서는 원전, 고속철도, 신도시 개발 등 대규모 인프라 사업이 핵심 축으로 부각됐다. 베트남의 신규 원전 건설과 북남 고속철도 사업에 한국 기업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으며, ‘원전 분야 인력양성 협력 MOU’를 체결해 원전 산업 전문인력 양성과 전 주기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중앙은행 간 협력 MOU를 통해 통화정책과 금융 안정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베트남 내 한국 기업 1만여 개의 안정적 활동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미래 산업 분야에서는 AI, 바이오, 재생에너지, 핵심광물 공급망 등 전략적 영역을 포함한 공동 연구와 산업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한-베 과학기술연구원(VKIST)의 역량을 높여 첨단 기술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태양광·풍력 발전과 전력망 확충, 스마트그리드 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베트남이 보유한 풍부한 희토류와 한국의 가공·활용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양국은 지난해 500만 명을 넘어선 인적 교류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정과 재외국민의 안정적 정착 지원을 강화하고,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분야 교류 협력 MOU’를 통해 문화콘텐츠 보호와 산업 교류를 촉진하기로 했다. 베트남에는 약 19만 명의 한국인이, 한국에는 약 34만 명의 베트남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 수는 10만 가구에 달한다.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서도 양국은 긴밀한 공조를 재확인했다. 베트남은 남북 대화 재개와 한반도 안정 노력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으며, 한국은 올해 경주 APEC 정상회의와 베트남의 2027년 푸꾸옥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회담에서 체결된 10여 건의 양해각서(MOU)에는 과학기술 인력 교류, 재생에너지 협력, 금융·자본시장 협력, 교육 협력 등 다방면의 협력 방안이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합의가 한국과 베트남을 잇는 경제·기술 동맹의 성격을 한층 강화하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 구도 변화 속에서 양국의 전략적 입지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이 2045년 고소득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한국의 기술력과 경험이 베트남의 산업 현대화와 인프라 확충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