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25일 워싱턴서 첫 회담…‘미래형 동맹’ 청사진 제시
-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트럼프 대통령과 첫 대면…24~26일 방미
- 관세협상 타결 기반으로 반도체·배터리·조선업·핵심광물 협력 논의
- 국방비·주한미군·대중 전략까지 포함한 ‘한미동맹 현대화’ 의제 부상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5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첫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성사된 이번 회담은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은 12일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 초청으로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공식 실무 방문한다”고 밝혔다. 김혜경 여사도 동행한다.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변화하는 국제 안보·경제 환경 속에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공고히 하고, 한반도 평화 구축과 비핵화를 위한 공조 방안을 집중 논의한다. 특히 지난달 말 타결된 관세 협상을 토대로 반도체, 배터리, 조선업 등 제조업 분야뿐 아니라 첨단기술과 핵심광물 협력 강화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가 제안한 3,500억달러(약 485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 운용 구체안과 민간기업 신규 투자 계획도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
안보 분야에서는 ‘한미동맹 현대화’라는 이름 아래 국방비 증액,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등이 포괄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이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 강화와 미·중 경쟁 심화 속에서 동맹국의 기여 확대를 요구하는 최근 흐름과 맞물린다.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의 국방비 지출을 GDP 대비 2.6%에서 3.8%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이번 회담에서 공동성명 발표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한국 정부는 정상회담 직전까지 미국 측과 협의를 이어가며 합의문 도출을 추진 중이다. 만약 발표된다면 관세 협상 세부 내용, 한미·한미일 안보 협력, 경제안보 파트너십 등 폭넓은 사안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
정상회담 외에도 이 대통령은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 프로젝트 ‘MASGA’의 핵심 거점인 미국 필리조선소 방문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최근 글로벌 조선업 공급망 재편과 친환경 선박 기술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한·미 간 산업 협력을 구체화하는 상징적 행보가 될 수 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