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서정진 “트럼프 관세 정면 돌파”… 셀트리온, 美 생산기지 전격 인수

  • “신규 건설보다 빠르고 저렴”… 7000억원 들여 글로벌 제약사 공장 확보
  • 현지 생산·판매·물류까지 전주기 내재화… 관세·원가·물류비 ‘3중 해방’
  • 트럼프 행정부 200% 관세 예고 속… “美 점유율 퀀텀점프 기회 될 것”

셀트리온이 미국 현지에 있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전격 인수하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보복 관세’ 정책에 맞서 정면 대응에 나섰다. 29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가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관세 리스크를 본질적으로 해소하려면 결국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추는 것이 정답”이라며 인수 배경을 설명했다.

셀트리온이 인수를 추진하는 생산시설은 미국 주요 제약산업 클러스터에 위치한 글로벌 제약사의 대형 DS(원료의약품) 생산공장으로,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생산해온 우수 의약품 제조·품질 관리 기준(cGMP) 인증 설비다. 셀트리온은 이 공장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거래 상대방은 계약 조건에 따라 오는 10월까지 비공개로 유지된다. 인수 금액과 초기 운영자금까지 포함해 총 7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연내 인수 완료가 목표다.

이번 인수는 단순한 생산기지 확보를 넘어,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해당 시설의 50%는 위탁생산(CMO) 계약이 체결돼 있어, 셀트리온은 인수 직후부터 피인수 기업의 바이오의약품을 5년간 독점 생산하며 즉각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나머지 50% 공간에서는 셀트리온의 미국 판매 제품을 직접 생산하게 되며, 관세 회피뿐 아니라 원가 절감, 공급 안정성 확보 효과도 기대된다.

서 회장은 “신규 공장을 짓는 데 4~5년이 걸리고, 1조원이 넘게 드는 반면 기존 cGMP 설비를 인수하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최대 200%’ 방침 발표를 앞둔 시점에서, 셀트리온은 한발 앞선 대응에 나선 것”이라고 강조했다.

셀트리온은 인수 완료 후 즉시 생산라인 증설에도 착수한다. 증설이 마무리되면 송도 2공장 대비 1.5배 수준의 생산능력이 확보되며, 완제의약품(DP)과 포장·물류거점 기능까지 통합된 전주기 생산체계가 미국 내에 구축된다. 기존에 셀트리온이 마련한 직판 네트워크와 결합하면, 생산-판매-물류를 아우르는 완결형 현지화 생태계가 완성된다.

업계는 셀트리온의 이번 결정이 국내 제약업계에 강력한 시사점을 준다고 보고 있다.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외국산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단계적으로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으며, 유예기간은 최대 1년6개월이 될 전망이다.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협상에서 EU 의약품에는 15% 관세가 부과되기로 한 점을 볼 때, 한국 제약사들은 더욱 불리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서 회장은 “이번 인수가 단순한 투자 차원을 넘어, 한국 기업이 미국 보호무역주의에 전략적으로 대응한 모범 사례가 되길 바란다”며 “셀트리온이 미국시장 점유율을 가속화하고 퀀텀점프의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