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테크

삼성디스플레이, 차량용 OLED 전용 브랜드 ‘DRIVE’ 첫 공개

  • 세계 최대 모빌리티 전시회 IAA서 자율주행차 디지털콕핏 대거 선보여
  • 안전·엔터테인먼트·디자인 혁신 결합한 미래 모빌리티 비전 제시
  • OLED vs 미니 LED 비교 전시…SDV 시대 핵심 플랫폼 경쟁력 강조

삼성디스플레이가 차량용 OLED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회사는 9일부터 14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빌리티 전시회 ‘IAA 모빌리티 2025’에서 차량용 OLED 전용 브랜드 ‘DRIVE(드라이브)’를 처음 공개하며 글로벌 완성차 및 부품업체 관계자들과의 접점을 확대한다.

DRIVE는 디자인 차별화, 견고한 신뢰성, 지능형 안전 기술, 고품격 화질, 확장형 디스플레이 등 5가지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시장 입구에 65형 OLED 3대를 연결한 대형 화면을 설치해 새 브랜드를 강조하고, OLED가 단순한 디스플레이를 넘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시대의 핵심 플랫폼임을 알린다.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미래 자율주행차 콘셉트의 디지털콕핏이다. 운전석에는 10.25형 무빙 클러스터가 적용돼 주행 시 계기판 역할을 하다가 정차 시 대시보드 아래로 숨겨지며, 조수석에는 34형 CID-PID 일체형 디스플레이가 설치돼 통합 또는 분리된 화면을 제공한다. 센터페시아에는 ‘ㄴ자’ 형태로 구부러진 14.4형 플렉시블L 디스플레이가 탑재돼 직관적인 조작 환경을 지원한다. 여기에 9.4형 원형 디스플레이와 30형 루프탑 디스플레이가 뒷좌석에 배치돼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확장한다. 조수석 PID에는 운전자 시야를 차단하는 ‘플렉스 매직 픽셀’ 기술이 적용돼 안전성을 높였으며, 향후 AI와 연동한 차량 맞춤형 제어도 가능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Upgrade to OLED’ 존을 별도로 마련해 미니 LED와 OLED의 차이를 비교 전시한다. 성형 자유도와 곡면 디자인 구현 능력, 야외 시인성, 명암비, 블랙 표현력 등에서 OLED의 우위를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7형부터 17형까지 7종의 규격을 표준화한 ‘리지드 OLED 기반 OTS 솔루션’을 첫 선보이며, 고객사들이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차량용 OLED의 우수한 성능을 미니 LED와 비교해 살펴볼 수 있는 ‘IAA 모빌리티 2025’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의 ‘Upgrade to OLED’ 존

이번 전시에서는 프랑스 디자이너 알방 르하이에와의 협업으로 폴더블, 롤러블, 스트레처블 OLED를 적용한 미래차 콘셉트 디자인도 공개된다. 차량 천정에 펼쳐지는 아웃폴딩 디스플레이, 롤러블 CID, 접히는 곡면 디스플레이 등은 미래 모빌리티 내부 공간의 변화를 가시화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전시가 삼성디스플레이가 차량용 OLED 시장에서 주도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한다. 특히 SDV 시대에는 차량 내부가 단순한 주행 공간을 넘어 엔터테인먼트와 생활 공간으로 진화하는 만큼, OLED가 가진 고화질·디자인 유연성·안전성을 앞세운 전략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수요 확대와 맞물려 더욱 주목받을 전망이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DRIVE 브랜드를 통해 차량용 OLED의 차별화된 가치를 알리고, 글로벌 고객과의 협력을 강화해 시장 선도 지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