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삼성·SK 중국공장에 장비공급 제한 추진…업계 ‘촉각’
- 트럼프 정부, ‘중국 반도체 견제’ 기조 강화…국내기업에 직접 통보
- 피해 제한적 전망 속 예외조치 가능성도…삼성·SK, 상황 예의주시
- 對中 제재 장기화 국면…국내 반도체 전략 재정비 필요성 커져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 내 공장에 대한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할 방침을 예고하면서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제프리 케슬러 미 상무부 산업·안보 담당 차관이 최근 이 같은 내용을 양사에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반도체 제조 장비가 중국 현지 공장에 공급될 때 사전 승인 없이 진행할 수 있었던 예외조항을 철회하겠다는 것으로,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을 억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산 장비를 사용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그리고 대만의 TSMC 등은 허가 절차가 까다로워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다만 이 같은 조치가 현실화되더라도 실제 피해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이미 바이든 행정부 시절부터 ‘디리스킹(de-risking)’ 전략이 시행되며 기업들이 공급망 재편과 대응책을 준비해왔기 때문이다. ASML의 EUV 장비는 이미 2019년부터 중국 수출이 금지돼 있었으며, 지난해에는 중국의 AI 기술 발전을 저지하기 위한 HBM 수출 제한 조치도 있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의 낸드플래시 생산공장과 쑤저우의 패키징 공장을, SK하이닉스는 우시, 충칭, 다롄 등지에서 다양한 반도체 시설을 운영 중이다. 현재 양사는 관련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이번 조치가 아직 미국 정부 내 다른 부처의 최종 승인을 거치지 않아 정책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며, 과거처럼 한국 기업에 예외조치가 적용될 여지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2022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 수출 통제 적용을 1년 유예했고, 이듬해에는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로 지정해 무기한 유예한 전례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조치도 중국을 견제하는 목적에 국한된 것이며, 외국 기업에 대한 예외적 유연성은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미국의 제재가 점점 장기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국내 기업들이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공급망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