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엔터

“문화뿌리 강화해 세계 속 K-컬처 도약”…‘케데헌’ 감독 만난 이재명 대통령

  • “한국 문화, 이제 본격적인 시작점…정부가 토대 만들어야”
  •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문화정책…대형 공연 인프라 확충 필요”
  • 케이팝 넘어 음식·예술까지, ‘문화 강국’ 비전 제시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 문화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글로벌 확산을 위한 ‘토대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0일 아리랑TV 특별 프로그램 <K-Pop: The Next Chapter>에 출연해 넷플릭스 인기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연출을 맡은 매기 강 감독, 트와이스 멤버 지효·정연, 음악 프로듀서 R.Tee, 평론가 김영대와 함께 한국 문화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문화산업은 겉보기엔 화려하지만 속이 비어 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정부가 뿌리를 튼튼히 다져줄 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문화산업 초기 기반이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의 정책에서 출발했다고 평가하면서 “이제는 2단계, 새로운 도약기를 준비해야 한다”며 대대적인 투자와 인프라 확충 필요성을 언급했다.

특히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다시 강조하며 과거 블랙리스트 논란을 언급했다. “문화 예술은 자유로운 환경에서 경쟁과 창의성이 살아날 때 성장한다. 정부는 감시자가 아니라 물을 주고 흙을 가꾸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 정책 구상도 제시됐다. 그는 “일본의 경우 전국적으로 대형 공연장이 잘 갖춰져 있지만 한국에는 부족하다”며 “경기도지사 시절 추진했던 ‘일산 아레나’가 무산된 경험이 있다. 앞으로는 대규모 공연장을 새로 짓거나 기존 시설을 변형해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케이팝 수요 폭증에도 불구하고 국내 관객과 해외 팬을 수용할 적절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업계 지적과 맞닿는다.

문화산업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는 케이팝을 넘어 음식과 순수 예술 분야를 언급했다. “비빔밥 같은 한식은 세계적으로 가장 건강한 음식으로 평가받는다. K-푸드 역시 문화 확산의 큰 축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애니메이션 속 호랑이 캐릭터를 언급하며 “가장 두려웠던 존재를 해학적으로 재해석해 귀엽게 만드는 것이 우리의 힘”이라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오후 아리랑 국제방송 ‘케이팝 더 넥스트 챕터(K-Pop:The Next Chapter)’ 프로그램 출연해, ‘케이팝 데몬 헌터스’ 매기 강 감독, 트와이스 지효·정연, 음악 프로듀서 겸 디제이 알티(R.Tee), 평론가 김영대와 K팝 산업의 미래에 관해 논의했다

이번 발언은 최근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들이 K-콘텐츠 확보에 투자 경쟁을 벌이고, BTS, 트와이스 등 케이팝 그룹이 여전히 전 세계 무대에서 견인력을 발휘하는 흐름과도 맞물린다. 동시에 K-드라마, K-애니메이션, K-푸드 등 ‘멀티 레이어드 문화 소비’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지원을 할지가 향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성공한 아티스트, 성공한 작품이 중요한데 아직도 도전할 기회조차 가지지 못하는 사람들이 무수하다”며 “정부는 문화적 토양을 만들어 더 많은 이들이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 자랑스러운 문화 강국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