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드리안에이아이, 정밀의료 AI 개발 박차… 서울아산병원 프로젝트 참여
- 고령 위암 환자 맞춤형 치료 위한 AI 모델 공동 개발 착수
- 국내 주요 병원 참여하는 민·관·학 협력 프로젝트 본격화
- 예측 정확도·설명력 높인 AI로 의료 의사결정 지원 강화
AI 플랫폼 전문기업 몬드리안에이아이(대표 홍대의)가 서울아산병원이 주관하고 암정복추진기획단이 지원하는 ‘AI 기반 정밀의료 개발 사업’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며 정밀의료 분야로의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이번 사업은 고령 위암 환자의 기대수명 예측 및 맞춤형 치료 결정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이인섭 교수와 고창석 교수, 몬드리안에이아이의 정훈 이사가 실무 연구를 이끈다.
이 프로젝트는 서울아산병원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유수 의료기관들이 참여하는 민·관·학 협력 사업이다. 총 3년간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K-CURE 및 다기관 임상·영상 데이터를 활용해 고령 위암 환자의 수술 후 생존율 및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AI로 예측하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1차년도에는 K-CURE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병기 및 치료법에 따른 생존률과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해 AI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어 2차년도에는 다기관 코호트를 기반으로 고령 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AI 모델을 개발하고, 3차년도에는 예측 모델의 성능 검증을 거쳐 실제 임상에서 활용 가능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을 도입할 계획이다.
몬드리안에이아이는 이번 연구에서 설명 가능한 AI(Explainable AI, XAI) 기술을 접목해 환자의 기대수명 및 합병증 위험을 예측함과 동시에, 예측에 기여한 요소들의 중요도와 영향을 투명하게 제시한다. 또한 직관적인 시각화를 통해 의료진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CDSS 시스템을 함께 개발 중이다.
이번 연구는 고령 위암 환자를 위한 정밀의료 구현에 실질적인 전기를 마련하는 동시에, 향후 암, 심혈관질환, 희귀질환 등 다양한 분야로의 기술 확장을 염두에 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몬드리안에이아이는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개최되는 ‘AI EXPO KOREA 2025’에 참가해 자사의 AI 플랫폼 ‘예니퍼(Yennefer)’를 선보일 예정이다. 의료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예니퍼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 역량을 소개할 계획이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컨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