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빅 게임’ 전략으로 글로벌 위기 돌파 시도
- 유튜브·틱톡과의 경쟁 속 대형 신작 라인업 가동
- 2027년 매출 7조·영업이익 2조 목표…글로벌 확장 본격화
- 생성형 AI·웹3 접목 등 게임 산업 패러다임 전환 준비
국내 대표 게임사 넥슨이 ‘빅 게임(Big Game)’ 전략을 중심으로 글로벌 게임 시장의 위기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넥슨은 24일 경기 성남시에서 열린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5’를 통해 2027년까지 매출 7조 원, 영업이익 2조 원을 돌파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신작 중심의 대규모 프로젝트와 기술 혁신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로 창립 31주년을 맞은 넥슨은 ‘던전앤파이터’, ‘메이플스토리’, ‘FC온라인’ 등 기존 인기 IP를 기반으로 ‘아크 레이더스’, ‘낙원: 라스트 파라다이스’,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프로젝트 DX’ 등 다양한 장르의 신작을 연이어 출시할 예정이다. 특히 생존 탈출, 오픈월드 RPG, 서브컬처 등 글로벌 게이머들의 취향에 부합하는 대작 라인업으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이제 기회의 문은 수년 안에 닫힐 수 있다”며 “기존 글로벌 강자와 맞설 수 있는 규모와 완성도를 갖춘 ‘빅 게임’만이 생존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틱톡과 유튜브가 게임보다 더 큰 매출을 올리는 시대가 됐다”며, 게임산업 전반의 위기 상황을 직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넥슨은 위기 타개를 위해 콘텐츠 개발, 마케팅, 개발 문화 전반에 변화를 주고 있다. 콘텐츠는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확장을 전제로 설계되고 있으며, 자체 개발력 강화를 위한 멀티 플랫폼 전략도 병행 중이다. 이와 함께 약 5조 7000억 원 규모의 현금성 자산을 바탕으로 글로벌 파트너십 및 M&A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이정헌 넥슨 일본법인 대표는 “대형 IP를 둘러싼 산업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생성형 AI, 웹3 같은 첨단 기술이 더해지며 개발 과정은 더욱 정교하고 복잡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넥슨은 기술 혁신 역량도 내재화하고, 주요 IP의 다방면 콘텐츠 확장과 새로운 장르 도전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올해 18회째를 맞는 NDC 25는 2019년 이후 6년 만에 오프라인 공개 행사로 열렸으며, 현장 강연과 온라인 생중계를 병행해 전 세계 개발자들과 지식을 나누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넥슨은 앞으로도 개발 생태계 내 소통을 강화하며 산업 리더십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