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대 준비…AI 기반 디지털 금융 생태계 확대
- 정책 변화 맞춰 스테이블코인 선도 의지 표명
-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 ‘커넥트’ 출시 예고…결제·마케팅 통합 플랫폼으로
- 금융 AI 에이전트로 진화…사용자 중심 서비스 확대
출범 10주년을 맞은 네이버페이가 디지털 금융의 미래를 선도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네이버페이는 정책 정비에 발맞춰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박상진 네이버페이 대표는 26일 ‘Npay 미디어데이 2025’ 행사에서 “정부와 당국이 합리적인 제도를 마련한다면 네이버페이는 그 속에서 제도 안착을 견인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최근 정부·여당이 디지털자산기본법을 추진하며 본격적인 법제화 논의가 시작된 이슈다. 하나은행과 카카오페이 등이 관련 상표권을 출원하며 업계 전반에 긴장감이 도는 가운데, 박 대표는 네이버페이가 갖춘 온라인·오프라인 트래픽 인프라와 리스크 대응 역량을 무기로 안정적인 테스트와 운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특히 “비금융회사가 운영하는 구조가 현실화되면, 네이버페이의 포인트 시스템이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날 행사에서는 오프라인 결제 시장을 겨냥한 차세대 단말기 ‘커넥트(CONNECT)’도 공개됐다. 커넥트는 현금, 카드부터 QR, MST, NFC, 얼굴인증 기반 결제까지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으로, 사용자와 가맹점 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마케팅 도구로도 활용된다. 리뷰 작성, 쿠폰 발행 등 소프트웨어 중심 기능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연내 출시를 목표로 개발이 한창이며, 단순 결제를 넘어선 고객 경험 중심의 도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네이버페이는 AI 기반 금융 서비스의 고도화도 적극 추진 중이다. 대표적으로는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조건 기반 자연어 검색으로 부동산 매물을 추천하는 ‘AI 집찾기’, 그리고 사용자의 자산 현황과 경제 지표를 요약 제공하는 ‘머니브리핑’ 등이 선보였다. 내부적으로는 부동산 분석 보고서 등 새로운 서비스의 PoC(개념 검증) 작업도 진행 중이다.
조재박 부사장은 “전통 금융사들이 경계하면서도 협력 가능성을 보고 있다”며, “네이버페이는 보유 데이터와 기술을 바탕으로 금융 상담부터 글로벌 디지털 자산 연계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아우를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지난 10년이 이커머스의 시대였다면, 앞으로의 10년은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새롭게 여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