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테크

과기정통부, 2026년 예산 23.7조 편성…AI 대전환·혁신경제 가속

  • R&D 예산 21.6%↑…기초연구 복원·차세대 전략기술 투자 강화
  • GPU 1만5천장 확보·AI 반도체·NPU 등 핵심 기술 집중 지원
  • 지역 균형 R&D·AI 배움터 확대…과학기술 성과 국민 확산 목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6년도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23조7천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개발(R&D) 예산만 11조8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6% 증가해 기초연구 복원과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에 힘이 실렸다.

정부는 이번 예산안에서 △AI 대전환(AX) △NEXT 전략기술 확보 △튼튼한 R&D 생태계 조성 △과학기술·디지털 균형 성장 등 4대 중점 분야를 제시했다. 특히 ‘대한민국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AI 분야에만 전년 대비 29.7% 늘어난 4조4,600억 원을 투입한다.

AI 인프라 확충에는 첨단 GPU 1만5천장을 추가 확보(누적 3만 장 이상)에 2조1천억 원을 투입하며, 국가 AI 컴퓨팅 센터,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특화 AI 모델 개발도 병행한다. 국산 AI반도체·신경망처리장치(NPU), 피지컬 AI 등 차세대 핵심 기술 개발과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300억 원)에도 예산이 반영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6년 예산안 요약 인포그래픽

NEXT 전략기술 확보 예산은 5조9,300억 원으로 27.8% 늘어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기존 초격차 산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바이오·양자·미래에너지 등 신기술 분야 선점에도 투자한다.

또한 기초연구 과제를 R&D 삭감 이전 수준인 1만5천 개로 회복시키고, 예산도 2조2,657억 원으로 확대해 연구 생태계 복원에 나선다. 국가연구소(NRL 2.0) 확대, 이공계 국가장학금 및 연구생활장려금 확대, 해외 인재 유치 프로그램 강화도 추진한다.

균형성장 분야에는 7,400억 원이 배정돼 지역 자율 R&D 확대, 연구개발특구 기능 강화, AI 디지털 배움터 확대 개편, 사회문제 해결형 R&D 확대 등이 포함됐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2026년 예산안은 AI와 과학기술을 혁신성장의 양대 축으로 삼아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고 혁신경제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를 담았다”며 “성과가 국민 생활 전반에 고르게 확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