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AI 9대 전략 및 52개 주요사업 발표…“글로벌 AI 생태계 1위 도약 선언”
- 산업·도민·기반 3대 분야 아우르는 9대 전략, 52개 사업 본격화
- 판교 AI 테크노밸리·친환경 데이터센터·생성형 AI 플랫폼 등 대형 프로젝트 추진
- 2025년 1,000억 원 투입…도민 체감형 복지·혁신행정·미래 인재 양성에 집중
경기도가 23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미래 산업 경쟁력 확보와 도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AI 비전 및 9대 전략’을 발표하고, 이를 뒷받침할 52개 주요 사업을 2025년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AI 휴머노믹스를 통한 포용·공존·기회의 경기도’를 비전으로 내세우고, 산업, 도민, 기반 등 3개 분야에서 9대 전략을 기반으로 한 세부 사업들을 신속히 실행할 방침이다.
산업 분야에서는 ‘기회의 AI’, 도민 분야에서는 ‘체감형 AI’, 기반 분야에서는 ‘신뢰의 AI’를 핵심 전략으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AI 복지 서비스 확대, 윤리적이고 안전한 인프라 조성, AI 기반 혁신 행정 도입 등을 추진한다.
9대 AI 전략에는 판교를 중심으로 31개 시군 핵심 산업과 연계한 ‘AI 테크노밸리’ 조성, 글로벌 AI 혁신 생태계 구축, 대규모 인프라와 민간 투자 연계의 ‘AI 융합 클러스터’ 조성, 맞춤형 도민 돌봄 서비스, AI 안전·윤리 기반 조성,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및 생활밀착형 서비스 확대,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미래 AI 인재 양성, 경기도형 생성형 AI 모델(LLM) 개발 및 혁신행정 선도 등이 포함됐다.
특히, 판교 AI 테크노밸리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 협력, 국내외 AI 협력센터 유치, 국산 AI 반도체 기반 서버 지원 등 산업 생태계 강화에 방점을 뒀다. 도민 복지 분야에서는 AI·IoT 기반 어르신 돌봄, 위기 예측, 발달장애인 맞춤 서비스 등 체감형 AI 복지 사업이 확대된다. 기반 분야에서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AI 안전·윤리 가이드라인 운영, AI 등록제 도입 등 신뢰 기반 조성에 힘을 싣는다.
경기도는 2025년 약 1,000억 원을 투입해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131억 원), 통합 데이터센터(201억 원), AI 혁신 클러스터(78억 원), AI 챌린지 프로그램(23억 원), AI 기반 노인돌봄(10억 원), 대한민국 AI 국제영화제(8억 원) 등 굵직한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은 경기도 보유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선도 AI 모델들과 연계해 플러그인 형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데이터 보안과 활용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이번 9대 전략과 52개 주요 사업은 경기도가 글로벌 AI 혁신 생태계 1등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AI 기술의 혜택을 모든 도민이 누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경기도를 글로벌 AI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컨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