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중진공, 관세 여파 中企 구제 위해 ‘맞춤형 특별사후관리’ 가동

  • 美 관세 조치 등 통상환경 악화로 수출기업 경영위기 우려
  • 실태조사 통해 3단계 분류…기업군별 맞춤형 회생·정리 지원
  • “정상화 가능 기업 회복 집중”…9월 5일까지 신속 추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이 미국의 대외 관세 정책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으로 경영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맞춤형 특별사후관리’에 착수했다. 이번 조치는 부실 징후를 조기에 진단하고, 기업 상황에 맞는 연계 지원을 통해 회생 가능성을 높이려는 선제적 대응 성격을 갖는다.

중진공은 수출 관련 정책자금, 특히 신시장진출지원자금 수혜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이후 결과에 따라 기업을 ▲정상 ▲정상화 가능 ▲정상화 불가능 등 3단계로 구분해 맞춤형 후속 조치를 적용한다.

‘정상화 가능’ 기업에는 대출금 상환 유예나 조정, 추가 정책자금 지원 등 유연한 금융지원책을 집중 투입해 부실 위험을 최소화한다. 반면 ‘정상화 불가능’ 기업은 새출발기금을 통한 채무 조정 등 신속한 정리 절차를 밟도록 지원해 피해 확산을 막는다.

중진공은 이번 특별사후관리를 오는 9월 5일까지 추진하며, 이를 통해 정책자금 집행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김일호 중진공 기업금융이사는 “조기 진단과 적기 지원으로 회복 가능성이 있는 기업군을 지켜내는 것이 핵심 목표”라며 “앞으로도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위기 대응력을 높이고, 정책자금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더 좋은 미래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굿퓨처데일리>